필리핀의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가지 주요 솔루션 작성자 정보 작성자 뉴스보이 작성일 2025.04.15 19:11 컨텐츠 정보 조회 657 목록 답변 본문 필리핀의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가지 주요 솔루션 우리의 굶주림 문제를 해결하려면 영양 문제를 즉시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주지사와 시장이 이끄는 지방 정부 단위가 선의의 거버넌스의 최전선에 서야 한다. 이는 지난 4월 2일 국가 영양 위원회의 사무국장인 아주세나 다양히랑(Azucena Dayanghirang) 차관보가 우리에게 제공한 두 가지 통찰력이었다. 우리는 3월 28일자 인콰이어러에 실린 Social Weather Station과 Stratbase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한 뉴스 기사에 따라 그녀를 인터뷰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필리핀 가정의 27.2%, 즉 약 750만 가구가 비자발적 배고픔(지난 3개월 동안 적어도 한 번은 먹을 것이 없음)에 직면해 있었다. 이는 2020년 9월 COVID-19 팬데믹 이후 가장 높은 기록이다. 다양히랑은 영양실조라는 맥락에서 기아 문제를 논의했다. 그녀는 두 가지 중요한 발언을 했다. 첫째, 영양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많은 사람이 영양이 건강의 일부라고 말하지만, 건강은 영양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영양과 함께 건강이 온다. 게다가, 그것은 사람의 학습 및 개발 능력 증가와 같은 다른 이점도 가지고 있다. 둘째, 영양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방 정부 단위(LGU)에서 할 수 있다. 그녀는 "영양 문제는 정부 부서가 아니라 바랑가이에서 발생한다. LGU는 바랑가이를 알고 있으므로 국가 정부의 도움을 받아 효과적인 바랑가이 활용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월 3일에 마르코스 대통령에게 보낸 공개 서한에서 우리는 우리의 영양실조가 우리의 발전에 얼마나 큰 피해를 입혔는지 보여주는 두 가지 연구를 인용했다. 첫째는 유엔 세계 식량 계획에 따르면, "필리핀의 10세 어린이 10명 중 9명은 연령에 따른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없다." 우리의 국가적 학습 빈곤율은 91%로 동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평균 35%보다 훨씬 심각하다. 둘째는 국제학생평가프로그램에서 실시한 것으로, 81개국 평가 대상국 중 79위라는 처참한 최하위 순위를 기록했다. 이는 수학, 과학, 독서 분야에서 15세를 대상으로 했다. 교육부(DepEd) 덕분에 2년 전, 30억 페소였던 학교 급식 프로그램 예산이 올해는 4배로 늘어나 110억 페소에 달했다. 세계은행은 “영양실조 해결에 투자한 1달러에 대해 32달러의 수익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수입 컵라면 등 영양가가 낮은 식품 대신 국산 영양식과 따뜻한 식사를 공급한다. 뉴트리븐스는 여전히 대부분 수입 밀을 사용하기 때문에, 교육부 차관보 덱스터 갈반은 야채 기반 식품 바와 말룽가이 칩 등 현지 재료가 더 많이 들어간 식품을 장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따뜻한 식사는 영양가가 높고 간접적으로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DepEd 외의 다른 출처에서 예산 지원이 필요한데, DepEd는 이를 위한 충분한 자금이 없다. 좋은 영양을 섭취하려면 야채를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베트남의 인구는 1억 200만 명으로 1억 1,700만 명인 우리보다 약간 적다. 하지만 그들은 우리보다 6배나 더 많이 소비한다. 이는 우리를 매우 불리한 입장에 놓이게 한다. 이것이 야채와 공급의 중요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따를 모델이 없기 때문에 최적이 아니다. 다행히도 농무부(DA)가 "Gulayan sa Bayan(야채의 마을)"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는 모든 지자체의 모델이 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지역과 계절에 가장 적합한 채소 씨앗을 갖춘 묘목장을 세울 것이다. 더 중요한 것은 좋은 농업 관행과 가능한 사업적 합의에 대한 학습의 원천이 될 것이다. 다양히랑은 시장이 이 프로젝트를 주도해야 하며, DA 지원과 함께 지방 자치 단체가 캠페인을 업그레이드하고 확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투명성과 더 많은 효과를 위해 민간 부문의 파트너와 함께 이 프로젝트를 보완해야 한다. 이 파트너는 비정부 기구, 교회 기반 조직 또는 농촌 개선 클럽이 될 수 있다. 영양과 거버넌스를 초점으로 삼으면 굶주림과 기타 중요한 개발 문제가 더 효과적으로 해결될 것이다. <인코이어러>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elect File Upload File 목록 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