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한비21 (제4호) 2024년 11월 5일
P. 15

NOV. 5. 2024       15






        돈의 힘인가? 관심의 힘인가? 필리핀 땅에서 열리는 가미카제 공격 기념식




               얼마나 동원되고, 유명을 달리하고, 잔류를 택했는지 조차 알수 없는 일제강제동원희생자





          교도통신에 따르면, 지난 10

        월  25일  북부  루손에  위치한
        마발라카트  비행장에서  제2

        차 세계대전 당시 가미카제 공

        습에 참여한 이들의 넋을 기리

        고, 최초의 자살공습 8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

          C la r k   I n t e r na t i o na l

        Airport  Corp.와  도쿄에  있
        는  To k kot a i  M e m o r i a l

        Foundation이 마련한 이번 행


        사에는 필리핀과 일본에서 온
        약 150명이 참석했다.

          1944년 10월 25일, 일본 제

        국 해군의 가미카제 특수 공격  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이  끝 보고서를  보면,  다음과  같은

        부대의  비행기가  마발라카트  날 때까지 필리핀을 포함해 태 내용이 나온다.

        비행장에서  이륙하여  필리핀  평양 지역에서 수행된 자살 공                                                              《일본제국의  총동원정책에

        중부  레이테  만에  있는  미국  습으로  약  4,000명의  일본인 의한  조선인  동원피해자  수
        군함을 공격하여 군함 한 척을  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 는  연인원  총  7,804,376명으

        침몰시켰다.                                         다.                                              로서 당시 조선인구 약 2,500

          특수공격부대 조종사를 위한                                                                               만  명의  약  1/3  정도로  추산

        신사를 관리하는 법인의 낸시  필리핀에서 침략역사 지우는  된다. 피해 유형별로는 군인으

        파글리나완은 "가미카제 신사 일본  정부와  이를  방관하는  로  동원된  자가  국내외  합계

        는 모든 전쟁에서 승자는 없고  한·필 양국 정부                                                                    209,279명,  군무원은  60,668

        피해자만 있을 뿐이라는 중요                                  필리핀의 관광명소인 리잘파 명이었고, ‘집단이입 노무자’는
        한 경고이며, 이런 가미카제 경 크에는 공원 재정비 사업에 따 국내(한반도 내)가 6,488,467

        험은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된 라  올해  새롭게  자리를  옮겨  명, 국외가 ‘1,045,962명’으로

        다는 것을 일깨워준다."라고 말 조성된 '일제강제동원희생자를  추산되었다. 》고 설명했다.

        했다.                                            추모하는  추도와  평화기원의  이어  《1944~1945년  한반

          파글리나완은  오늘날  세계  탑'이 있다.                                                                     도의 인구는 대략 2,500만 명

        여러곳에서  전쟁이  지속되는  2010년  일제강제동원피해조 이었고, 북한지역에 약 900만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했지만,  사및  지원위원회에서  지원해  명, 남한지역에 약 1,600만 명

        일본 재단 이사인 시게루 이와 조성된  이  탑이  갖는  의미를  의 인구가 있었다고 추산된다.

        사키는 "침략에 대한 가장 큰  되새겨 보자!                                                                      여기에 이주나 동원에 의해 한
        억제력은 모든 시민이 조국과  2014년 설립된 일제강제동원 반도 밖에 거류하던 약 500만

        동포를 위해 갖는 정신"이라고  피해자지원재단이  2021년  펴 명을 합해 해방 직후에는 통상

        강조했다.                                          낸 '해방후 강제동원 피해자의

          1945년  8월  일본이  항복을  귀환  및  귀환과정  실태  조사'                                                               17 페이지에 계속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