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한비21 (제4호) 2024년 11월 5일
P. 17

NOV. 5. 2024       17








                   15 페이지에 이어



          “3천만 동포”라고 불렀다.》고

        적고 있다.

          같은 보고서에는, 필리핀에서

        종전과 더불어 다시 조선으로
        되돌아  간  이들의  수의  누계

        를 1946년 2월 1,172명, 1946

        년 9월 1,291명, 1947년 12월

        까지 1,406명이라고 밝히고 있

        다. 당시 혼란했던 시대상을 고

        려할 때 ○ 일본군으로 참전해

        필리핀에서 죽음을 맞이한 조
        선인 ○ 필리핀에서 사망한 강

        제동원 피해자와 위안부 ○ 귀

        국보다 필리핀에 잔류를 택한

        이들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자료는 극히 일부만 확인되었

        을 뿐 보다 상세한 조사 자료

        는 전무한 실정이다.

          일본 정부는 2018년 4월 필

        리핀  국가역사위원회와  민간
        피해자단체가  마닐라베이  로

        하스볼리바드 주변에 세운 필

        리핀 위안부상과 2019년 12월

        라구나주 산 페드로시에 제천

        시가  세운  '평화의  소녀상'도

        철거하도록 필리핀 정부에 압

        력을 넣은 바 있다.
          필리핀을 방문하는 국내 주요

        인사들은 타귁에 위치한 한국

        전 참전기념비를 주로 찾아 헌

        화한다. 참배행사에 따른 경호

        문제도 있겠지만, 리잘파크 있

        는  조형물들은  한국전참전기

        념비와  더불어  일제강제동원

        피해자등을 기리고 있다는 것

        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
          80여년 전 이곳에 끌려와 생

        사가 나뉘었던 이들의 슬픈 역

        사를 우리는 기억해야 할 의무

        가 있다.       <전재종 편집인>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