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한비21 (제5호) 2024년 11월 25일
P. 33

NOV.  25. 2024       33











                   32 페이지에 이어                          있다. 현재 더 엄격한 이민 정 상황이다.
                                                       책을 내놓고 국경을 강화하는  미국에 있는 불법 체류 필리

        움이 되는 이민 변호사와 상담 국가가 많이 있다.                                                                    핀인에 대한 저의 초기 미디어

        하고자 한다.                                          가장 이민 친화적인 국가 중  인터뷰 이후, 인신매매 피해자

         워싱턴에  오기  훨씬  전부터  하나로 여겨지는 캐나다는 이 와 "공포의 칼"을 머리에 이고
        저는 미국 이민법의 변화와 미 민자들이 주택, 의료 및 기타  사는 사람들이 직면한 잠재적

        국에  체류하는  필리핀인에게  사회 서비스와 관련된 문제를  인 문제에 대해 전혀 모르는 몇

        미치는 영향의 잠재적 결과에  야기한다는 내부 우려가 커지 몇 무식한 비평가들이 있었다.

        대해 글을 써왔다. 저는 추방될  면서 이민정책을 변경했다.                                                               알례로 로스앤젤레스 영사관

        때까지 기다린 많은 사람들을  우리나라도 불법체류자가 입 에서 만난 Fedelina Lugasan

        알고 있다. 그들은 미국으로 합 국하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의 경우 그녀는 고용주에게 노

        법적으로 돌아올 수 있는 모든  있으며, 이는 이민 당국을 압도 예로 팔려간 후 구출되었다. 그
        기회를 완전히 빼앗기게 된다.                               하고 있다. 중국인 앨리스 궈가  녀는 10대 시절 레이테에서 가

         오늘날, 점점 더 많은 국가들 가짜 출생 증명서를 사용하여  정부로 일하기 위해 모집되었

        이 불법 이민 문제에 직면하고  공직에 선출된 사례는 놀라운  고 결국 미국으로 끌려왔다. 필

                                                                                                       리핀 가족에 고용된 그녀는 65

                                                                                                       년  동안  노예로  지내며,  급여

                                                                                                       도 받지 못하고 학대를 받았다.

                                                                                                       얇은 담요만 두른 채 바닥에서

                                                                                                       잤다. 그녀의 곤경은 2018년 병

                                                                                                       원에서 고용주를 돌보다가 배
                                                                                                       고픔으로 쓰러진 뒤 FBI가 피

                                                                                                       해자 보호부에 그녀를 데려가

                                                                                                       조사하면서  드러나  구출되었

                                                                                                       다.

                                                                                                        그것은 내 기억 속에 영원히

                                                                                                       새겨진 가슴 아픈 이야기였다.

                                                                                                       저는 그런 일이 누구에게도 일
                                                                                                       어나지 않기를 바라며, 특히 필

                                                                                                       리핀 사람들에게는 절대 일어

                                                                                                       나기를 않기를 바란다.

                                                                                                        <Jose  Manuel  “Babe”  del

                                                                                                       Gallego Romualdez 주미 필리

                                                                                                       핀 대사/필리핀스타>




                                                                                                        ◀  퓨리서치  자료에  피노이  불법이

                                                                                                       민자는  13만  명  추정,  아이미  마르코

                                                                                                       스  상원의원은  20만  명  추정,데일리

                                                                                                       트리뷴  기사에서  로무알데즈  대사는

                                                                                                       25~30만 명으로 추정. 한국인도 11만

                                                                                                       명 가량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