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한비21 (제17호) 2025년 5월 31일
P. 19

MAY.31. 2025      19










                   17 페이지에 이어


        속성이  떨어진다.  과거  2009년,

        2013년에 응급의료체계 구축법안

        이 발의되었으나 입법이 좌절되는

        등 정책적 우선순위가 낮았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로 응급의료

        접근성과 대응 속도 모두 취약한
        상태이며, 특히 외국인이나 관광객

        이 낯선 환경에서 긴급상황을 겪을

        경우  언어  장벽과  정보  부족까지

        더해져 더욱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다.                                             ▲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연출된 사진임




          2. 한인 밀집 지역의 응급 상황                             문제는 범죄 자체뿐만 아니라 사 명 이상의 한국인이 필리핀에서 피
        문제점과 실제 사례                                     건 이후의 응급대응 공백이었다. 일 살당해왔을 정도로 사건이 빈발했

          필리핀 내 한인 교민과 관광객이  부  교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당시  고, 교통사고나 심장마비 등으로 위

        많이 모여 있는 지역(마닐라 메트 911 신고 후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 급 상황에 처한 교민·관광객 사례

        로폴리탄, 클락·앙헬레스(앙헬레스)  하는 데 1시간 이상 걸렸고, 피해자 도 다수 보고되었다. 그러나 사건

        등 중부 루손, 세부·보라카이 등 휴 는 뜨거운 도로 위에서 도움을 기 이 발생한 현장에서 한인들이 즉각

        양지)은 치안과 안전 문제가 지속  다리다 숨졌다고 한다.                                                               적으로 도움을 청할 창구가 마땅치

        제기되어 왔다.                                         이처럼 현장에서의 응급처치나 신 않고, 구급차 호출이나 병원이송 과

          특히 앙헬레스시는 클락 경제특 속한 이송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정에서 언어 장벽과 지리적 제약으

        구 인근에 코리아타운이 형성될 정 Golden Hour를 놓치면서, 응급의 로 골든타임을 놓치는 문제가 있었
        도로 한인 사업체와 관광객이 집중 료체계 부재가 인명 피해를 키웠다 다.

        된 곳인데, 2025년 4월 이 지역에 는 지적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어 세부의 한 리조트에서

        서 발생한 한국인 관광객 피격 사                               앙헬레스 사건을 계기로 필리핀  심정지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직

        건이 한인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 한인 사회에서는 “만약 우리 교민  원들과 주변인이 응급처치를 제대

        다.                                             스스로 긴급시 대응 할 수 있는 체 로 하지 못해 사망한 사례, 교통사

          2025년 4월 20일 오후 앙헬레스 계가 있었더라면 결과가 달라졌을 고를 당한 관광객이 현지 병원을 전

        시 한인타운 거리에서 오토바이를  지 모른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 전하며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친
        탄 강도가 한국인 관광객 김씨의  왔다.                                                                         사례 등이 교민 언론을 통해 종종

        가방을 뺏으려다 저항하는 그를 권                               주필리핀 한국대사관도 현지 경 전해졌다. 이러한 사례들은 한인 밀

        총으로 쏘는 강력 범죄가 발생했 찰에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요구 집 지역에 자체적인 응급대응망이

        고, 피해자는 현장에서 가슴에 총 하는 한편, 교민들의 안전 대책과  부재하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상을 입었다. 피해자 김씨는 인근  응급지원 강화 필요성을 재확인하                                                            즉, 치안 불안 속에서 발생한 사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었으나 도착  였다.                                                                         고·범죄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사건

        당시 이미 사망 판정을 받았다.                                앙헬레스 사건 이전에도 필리핀 직후 응급처치와 의료기관 이송까

          이 사건은 대낮 번화가에서 외국 에서는 한인을 겨냥한 강력 범죄 지의 “공백 시간”을 줄이는 체계적

        인 대상 강도살인이 벌어졌다는 점 와 안전사고가 잦았으며, 그 때마다  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에서 현지 치안에 대한 불안을 크 응급의료 공백 문제가 반복되어 왔
                                                                                                                   21 페이지에 계속
        게 증폭시켰다.                                       다. 실제로 2010년대 이후 매년 10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