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한비21 (제18호) 2025년 6월 17일
P. 13

JUNE. 17. 2025     13







                               [컬럼] 외교부 ‘보여주기 간담회’ 유감




                                                 "실질적 해외안전 대책 요구한다"













































          외교부가  지난  5월  2 7일  여행업계가  감금·사기  범죄  코리언 데스크조차 없는 캄보

        ‘2025년 상반기 정부-여행업계  예방의 책임자인가?                                                                 디아, 대응 체계는 이미 무너졌

        안전간담회’를 열었다.                                     외교부는  이  날  간담회에서  다

          행사에는 여행사, 항공사, 소 여행업계를 향해 “우리 국민의  지금 외교부가 할 일은 민간
        비자단체,  손해보험협회  등이  강력범죄 피해 및 취업사기 피 에 협조를 요청하는 일이 아니

        참석했고,  정기홍  재외국민보 해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라, 국가의 공공 시스템을 제대

        호·영사분야 정부대표가 주재 안전 조치를 강화해달라”고 요 로 작동시키는 일이다. 현재 필

        하여 해외 정세와 감염병 동향,  청했다. 그러나 되묻지 않을 수  리핀과 태국은 현지 경찰청 내

        여행업계와의 협업 방안 등을  없다. 불법 브로커나 사이버 취 에  한국인을  위한  전담  수사

        논의했다고 국내 언론에 밝혔 업 사기가 온라인을 통해 교묘 창구인 ‘코리언 데스크’를 설치

        다.                                             하게 접근하는 상황에서, 전통 해 운영 중이다. 그러나 캄보디
          겉보기에는 그럴듯한 행사다.  적인 여행업계가 대체 무엇을  아는 아직도 이러한 기본적 대

        외교부가 국민의 안전한 해외 어떻게  ‘주의’하고  ‘강화’하란  응체계를 갖추지 못했다.

        여행을 위해 진지하게 고민하 말인가?                                                                            그  결과,  주캄보디아  대사관

        고 있다는 인상을 주기에 부족                                 여행업계는 항공권 예약, 패키 은 사실상 ‘24시간 구조센터’로

        함이 없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 지 기획, 고객 응대를 주요 업 전락한 실정이다. 경찰청 파견

        다보면, 실효성은커녕 구체성조 무로 한다. 감금이나 사기 피해 영사는 고작 두 명뿐이며, 이들

        차 빈약해보인다. 특히 최근 심 는 ‘여행’이라는 단어와는 애초 은 연간 200건이 넘는 취업사

        각한 수준으로 번지고 있는 필 에 거리가 먼 조직범죄의 영역 기 피해자의 구조 요청에 매달

        리핀 내 강력범죄, 캄보디아 내  이다. 외교부의 요청은 마치 관 리느라 일반 여행객이나 교민
        취업사기 및 감금 피해에 대한  광버스 운전기사에게 택배 사 의 안전을 챙길 여력조차 없다.

        대응책이 "여행업계에 협조 요 기의  유통망까지  감시하라는  현지 경찰과의 협조는 언어, 문

        청"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는 점 식의 비현실적 주문과 다르지

        은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않다.                                                         15 페이지에 계속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