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한비21 (제4호) 2024년 11월 5일
P. 33
NOV. 5. 2024 33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 246만 명, 총 인구 대비 4.8% 역대 최다
2023년 외국인주민 수 전년 대비 20만 명 증가(8.9%↑) 역대 최다
2006년 53만 명→2009년 110만명→2014년 156만명→2018년 205만명→올해 250만명 넘어 설 듯
행정안전부 (장관 이상민)가 외국인 주민 매 4년마다 핀 1만 543명(4.5%), 캄보디아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평균 50만 명씩 늘어났다 5,252명(2.3%)순이다.
를 분석해 2023년 지방자치단 경북 또는 대구 인구 규모 국적취득 후 경과기간은 10
체 외국인주민 현황을 발표했 년 이상인 자가 12만 8955명
다. (55%), 5년 이상 10년 미만자가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년 韓국적 취득자는 5만 3355명(22.8%), 5년 미만
11월 1일 기준 3개월을 초과해 전체 외국인 주민의 9.5% 인 자는 5만 2196명(22.2%)를
국내에 장기거주한 외국인주민 24만 4천여명 불과 기록했다.
수는 총 245만 9542으로 나타 국내 출생 외국인 주민 자녀
났다. 이는 통계가 처음 발표된 국내 출생한 외국인 주민 자 는 28만 9886명으로 연령별
2006년 이후 역대 최다 기록이 녀는 7809명(2.8%↑) 증가한 로는 미취학아동 10만 1398
다. 28만 9886명으로 집계됐다. 명(35%), 초등학생 10만 3328
외국인주민 수는 인구주택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 명(35.6%), 중고생 8만 5126명
총조사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 중 외국인 근로자는 47만 250 (29.4%)로 조사되었다.
(51,774,521명)의 4.8%를 차지 명, 외국국적동포는 41만 972 외국인 주민 수가 많은 시도
하고 있다. 17개 시·도 인구 규 명, 유학생은 20만 6329명, 결 는 경기,서울,인천순이며, 시군
모 순위와 비교하면 6위 시도 혼이민자는 18만 72명으로 집 구는 안산,화성,시흥순이다. 총
인 경북 (258만 명), 7위 대구 계되었다. 주료 국적별 구성비 인구대비 외국인주민비율은 충
(237만 명) 사이에 해당된다. 로는 중국(한국계) 27.5%, 베 남 7%, 경기 5.9%, 충북 5.5%,
주요통계 특징으로는 한국국 트남 12.8%, 중국 11.4%, 태국 제주 5.4%, 인천 5.3%, 전남
적을 가지지 않은 자는 18만 9.9% 순이었다. 4.9%, 서울 4.8%순이다.
2804명(10,4%↑)증가한 193만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는 중국 <정책브리핑/정리 전재종 기자>
5150명이며, 한국국적을 취득 (한국계) 10만 1995명(43.5%),
한 자는 1만 681명(4.8%↑) 증 베트남 5만 4696명(23.3%), 중
가한 23만 4506명이다. 국 4만 2513명(18.1%), 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