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한비21 (제4호) 2024년 11월 5일
P. 38

38        NOV. 5. 2024












                   [컬럼] 죄책감의 신들은 어디에 있나요?




                 홍수방지기금, 매년 4,000억 페소 쏟아부어도 악순환 반복



                           뇌물 수수관행 기존 30%→50% '껑충' 부패 심각























                                                 정치인·일부 LGU 관료, 사업비 절반 착복



                                        매년 홍수 반복…주민 인명·재산 피해 아랑곳 않고



                                           푼돈 지원하며 생색, 부패 동참 않으면 보복까지








          지난 주 이른 아침 블랙 커피 핀 경제는 붕괴 직전이었으며,  이 현 행정부에서 더욱 심해졌
        를 마시며 가진 회의에서, A건 마르코스 정권 하에서 최악의  다고 말했다. 이전 몇 년 동안

        설  회사의  사장은  홍수  방지  전후 불황을 겪었다. 이는 당시  은 프로젝트 비용의 30%가 일

        기금의 부패가 이 속도대로라 영부인 이멜다 마르코스와 그 반적이었지만, 지금은 50% 이

        면 몇 년 안에 마르코스 시니 들의 심복들이 주도한 사치스 상이 뇌물 수수로 빠져나간다.

        어 시절의 혼란스러운 1980년 러운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                                                               이는 인플레이션 때문일 수도

        대 초반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하기 위해 빌린 막대한 부채 때 있고, 일부 현직 지방 관료들이

        크다고 경고했다.                                      문이었다.                                          2025년 선거에 출마를 위한 선
          그는 국가 금고가 털렸던 그  경제학자 에마누엘 데 디오스  거 자금 확보 때문일 수도 있

        시대를 상기시키며, 우리는 지 박사는 1984년~1985년까지 국 다.

        금도 여전히 그 혹독한 현실에  가가 더 이상 채무를 지불할 수  어느 쪽이든, 이들은  이러한

        대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설 없어 부채 위기가 촉발되었고,  프로젝트를  통해  재무부에서

        명했다. 그는 이러한 부패가 계 이는 생계 상실과 극심한 빈곤 자금을 훔치고, 그 결과 우리

        속된다면 그런 일이 일어날 것 으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재정 당국이 재정 격차를 메우

        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방 정부  그 기간 이후에는 우리가 강 기 위해 자금 차용을 강요하고

        관리들이  의원들과  공모하여  력한 지역 플레이어가 될 수 있 있다. 그 결과 국가 부채가 쌓

        홍수 방지 구조물을 건설하도 었던 잃어버린 수십 년이 이어 이고, 이 부채가 줄어들지 않는
        록 계약한 사람들에게 뇌물을  졌다. 제가 말했듯이, 우리는 여 다면, 우리나라는 빠져나올 수

        요구하는 이런 깨진 생태계의  전히 그때 일어난 일에 대한 대 없는 엄청난 부채 구덩이에 빠

        희생자이다.                                         가를 치르고 있다.

          80년대 초반에서 중반에 필리                               A건설 사장은 뇌물 수수 관행                                         39 페이지에 계속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