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 한비21 (제5호) 2024년 11월 25일
P. 5
NOV. 25. 2024 5
3 페이지에 이어
였다. 조선 조정은 1797년 인
삼 무역을 공식 승인함으로써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자 했고,
1899년(고종 36년)에 인삼과
홍삼 제조의 관리를 위해 '궁내
부 삼정과'를 설치했다.
인삼무역으로 유명한 거상 임
상옥(1779-1855)도 의주 출신
이다. 의주 사람들은 청나라 뿐
아니라 동남아 각지로 인삼행 ◀ 일제 강점기였던 1935년 필리핀에 처음
와 이국땅에서 조국의 해방, 2차 세계대전,
상을 떠났다. 인삼행상들은 주 한국전, 조국의 근현대사를 직간접적으로 경
험했던 박윤화 회장. 의주 출생인 그는 초대
로 상회를 중심으로 활동하였 필리핀 한인회장(재임1967~1979)을 지냈으
고, 상회는 이익금 일부를 떼어 며, 1945년 대한인국민회 필리핀지방회 정식
조직 보고를 한다. 한필 양국정부가 공식수교
임시정부와 독립자금에 지원하 를 맺은것은 1949년, 마닐라에 공사관이 설치
된 것은 1954년이다. 그는 평생 한필 양국 민
였으며, 거사 이후 도피에 나선 간외교·인적교류·스포츠외교 지원에 앞장 서
독립운동사들에게 도피자금과 왔다. 또한 공식자료로 확인된 가장 오래된
한필 가족이기도 하다.
도피처를 제공하기도 했다.
1927년 조선일보 기사를 보 대동아공영권 야욕을 꿈꾸며
면, 30여명의 인삼행상이 필 하나씩 계획을 준비 중에 있었
리핀으로 떠났고, 1931년 조 도움을 주었다. 던 것으로 보인다.
선일보 기사에서는 중국과 동 당시 필리핀의 인구 는 약 조선일보 1923년 11월 8일자
남아 각지를 누빈 인삼행상만 1300만 명으로, 조선인구 약 '도미유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500~600여명에 달한다고 전하 2500만 명보다 적었다. 라는 기사를 보면, 당시 두 가
고 있다. 1933년 척무성(일본의 식민 지 이민 방법이 사용되었던 것
이 시기 아예 외국에 정착한 지 관리 행정기관)은 대이주정 으로 보인다.
인상행상(혹은 상회 판매거점) 책을 세우고, 만주·남미·동남아 첫째, 중국에서 미국인 선교
들도 있었다. 필리핀 차이나타 각국에 한인 집단 이주계획을 사들이 운영하는 학교에 입하
운에 터를 잡고 중국인들에 인 세웠다. 이 계획에 필리핀 이민 며, 중국 국적으로 귀화 후 여
삼을 팔던 고려약방 주인 최무 2500명도 포함되어 있다. 행권을 얻어 미국행을 하는 방
집은 1935년 필리핀 땅을 처음 식민지 독립을 인정하려는 미 법이 있었다. 그러나 중국인 신
밟은 박윤화 선생(초대 필리핀 국과 달리 일본은 식민지 확장 분이기에 불편함이 있었다고
한인회장, 의주 출신)의 정착에 을 원했다. 일본은 이 시기부터 한다.
둘째, 당시 미국령이었던 필
리핀에는 특별법이 있어 6개월
간 체류하고 필리핀 정부에 등
록하면 시민권 신청이 가능했
다. 자치령이긴 하지만 미국 국
민 신분이 되기에 외국에 망명
7 페이지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