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한비21 (제5호) 2024년 11월 25일
P. 7

NOV.  25. 2024         7







                     5 페이지에 이어

        하려는  조선독립단  청년들을

        포함해 미국에 가는 방법으로

        많은 이들이 선호했다고 한다.

          박윤화 선생 역시 이 방법으

        로 미국유학을 꿈꾸며 필리핀
        에 왔지만 그대로 눌러앉은 경

        우이다.

          100년 전과 달리 오늘날 한필

        양국의 시대상은 ○ 대한민국

        은 인구 5천만 명, 필리핀은 인

        구 1억 2천만 명으로 역전되었

        다. 필리핀은 세계 13위 인구대
        국이 되었고, 우리는 저출생으                                 반면, 일제 강점기 일본은 민 는 다양한 수요 사이에서 섬세

        로 전 세계에서 가장 빨리 인구 족문화말살을 위해 일본어 교 한 이민정책 수립은 국가의 발

        가 감소하는 국가가 되었다. ○  육을 강제했고 한국어 사용을  전과 미래를 결정짓는 매우 중

        100여  년  전  돈을  많이  벌수  금지시켰다. 약 35년간의 일제 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럼에도

        있다는 말에 조선의 인삼장수 강점기 흔적은 지금도 여전히  우리는 지엽적인 문제에만 함

        들은 앞 다투어 필리핀을 포함 우리 생활 곳곳에 남아 있다.                                                              몰되어 땜질식 처방을 남발하

        한 동남아 각지로 퍼져나갔다.                                 식민 지배국의 '동화 혹은 강 며 자칫 큰 산과 산맥을 보지

          오늘날에는 고임금 일자리를  제말살'이라는 상반된 식민 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찾아 한국을 찾는 필리핀 근로 배 정책기조가 오늘날과 같은  느낌마저 든다.
        자들이 취업기관에 문전성시를  기묘한 상황을 만들었다.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자!

        이루고 있다.                                                                                          지난  11월  5일  미국  대선과

          1960~1970년대에는  우리나                              100여년이 지난 지금, 다른  동시에 치러진 상·하원 선거에

        라의 국비장학생들이 필리핀으 이민정책 기조가 낳은 결과는'  서 트럼프 대통령과 더불어  한

        로 유학을 떠나는 경우가 있었                                 오늘날 우리의 이민정책은 어 국계 의원 5명이 당선의 기쁨

        다. 지금은 초등학교 학생들까 디에 초점을 맞추고, 최우선 가 을 안았다. 이들은 앤디 김(첫

        지 어학연수를 위해 필리핀을  치를 부여 하고 있는 것일까?                                                              연방 상원의원), 매릴린 스트라
        찾고 있다. 반대로 필리피노들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함 클런드 (하원의원, 3선), 데이브

        은 한국내 취업과 한국 문화를  없는 강대국 미국에 대한 '동경' 민 (하원의원, 초선) 이상 민주

        즐기기 위해, 자발적으로 한국 은 변함이 없다.                                                                     당, 영 김(하원의원, 3선), 미셸

        어를 공부하고 있으니 상전벽                                  세계최고의 고등교육 기관들 스킬(하원의원, 3선) 이상 공화

        해가 아닐 수 없다.                                    이 즐비하기에 많은 이들이 유 당이 그 주역이다.

          필리핀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 학을 떠나고, 부유층은 시민권  42세인 앤디김은 미국에서 태

        용하기 시작한 것은 미국식민 취득과 병역문제를 이유로, 또  어난 이민 2세대이다. 62세인

        지  하에서이다.  미국의  식민 다른이들은 새로운 기회와 삶 매릴린  스트라클런드(한국명

        지 동화정책 100여년 만에, 약  을 찾아 이민을 떠난다.                                                              순자)는 한국에서 태어난 1.5세
        327년간 이어져 내려온 스페인  국내에서는  저출생  문제  및  대이다. 데이브 민은 62세로 미

        식민지배 하 문화와 언어는 이 생산인력 수급'이라는 다른 맥 국에서 태어난 이민 2세대, 62

        제 그 흔적을 찾기 힘든 수준 락의 이민수요 요구가 대두된

        이 되었다.                                         다.. 이민을 떠나고, 이민을 오                                           9 페이지에 계속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