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한비21 (제2호) 2024년 10월 9일
P. 23

OCT.  9. 2024       23








                   21 페이지에 이어



          시내 국민주택 규모의 아파트

        를 사자면, 프리미엄이 붙는 인

        기지역을 제외하더라도 평균 7

        억 원~8억 원 가량의 자금이
        필요하다.

          ○  물가인상률을  배제하고,

        집 가격이 고정이라고 가정한

        다면, 월 100만원 저축해 집을

        사려면 60년이 걸린다. 월 200

        만원 저축하면 30년, 월 300만                                      월수입 250만원                            지 못하는 이, 저신용자가 170

        원 저축해도 20년이 걸린다.                                                                              만명이나 된다는 점이다.
          지방은 같은 25평이라도 분양                                 급여근로자 49.8% 차지                               더 빨리  내 집을 갖고 싶다

        가 1억 원짜리 아파트도 있지                                     가계 월 500만원 벌어                            면, 저축액을 늘려야 하고 그러

        만 모든 발길은 서울과 수도권                                        380만원 평균지출                            자면 출산과 양육은 걸림돌이

        으로 향한다. 바로 먹이 때문이                                   가용저축금액 120만원                              되기에  정부에서  신혼부부들

        다.                                                   평생 벌어야 내집마련                              의 내집 갖기 소망을 들어주기

          맞벌이  부부가  월  200~300                                 2세 계획 요원해져                             위해 원가공개, 반값 아파트를

        만원  20년  저축해야  집을  살                                                                          강도 높게 추진해 나갈 필요가

        수 있다는 의미다. 외벌이로 월                                   지방 저렴한 집 많지만                              있다.

        200~300만원을 저축할 수 있                                      양질 일자리 부족                               무엇보다 집이 재산증식이 아
        으려면, 실 수령액 700만원, 연                                양극화·비교문화 확산에                               닌 보금자리 역할이고, 꼭 내

        봉으로 1억 1천만 원이어야 가                                   비혼·무자녀 주의 확산                              소유가 아니어도 된다는 사회

        능하다.                                            정부, 집값 안정·양질 일자리                              적 인식이 자리 잡아야 한다.

          국세청 2022년 자료를 보면,                                       창출 매진해야                               집단양육은  '공동육아'로  풀

        1억 이상 연봉을 받는 근로자                                                                              어 볼 수 있다. 과거처럼 대가

        는 131만 7천명이다. 2023년 8 개 용적률이 200%인 점을 감 족 중심의 생활에서 공동육아

        월 전체임금 근로자는 2,195만  안하면)  25평  아파트를  짓는  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었다.
        4천명인 것을 감안하면, 6%에  데 실질 원가는 1억5000만 원  그러나 지금은 핵가족, 1인가

        불과하다.                                          정도”라며 “이익을 내야 하니까  구가 사회적 트렌드이기에 가

          ○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 평당 700만~800만 원대에 판 정이 아닌 국가가 공동양육에

        사)는 분양원가 공개 및 반값  다면 1억 7000만~2억 원 미만 대한 지원과 보조를 맞추어줄

        아파트에 대해 설명하며, 강서 으로 얼마든지 아파트를 공급 필요가 있다. 또한 이웃 간 아

        구 마곡지구에 분양한 아파트 할 수 있다” 고 전했다.                                                                파트 층간 소음 다툼으로 살인

        의  원가가  3.3㎡(1평)당  최대  종합해보면, 월 100만 원 정 을 할 정도로 어울림 없는 폐쇄

        1317만원으로  서울시내에서  도 20년 저축해서 집을 살 수  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25평형 아파트를 짓는 실질 원 있는 수준이 현재로서 보편적 삶의 방식도 변화가 필요해 보
        가는 1억 5000만원 수준이라 인 수준으로 보인다.                                                                 인다. 삶이 각박해지자 정신마

        고 밝혔다. “땅의 원가는 평당  문제는 월수입 전부를 이자로  저 피폐해진 것이다. 옆집에 누

        500만원이고, 건물 짓는 원가 내기에도 모자란 이, 이자 때문                                                                       25 페이지에 계속

        는 평당 평균 600만원이다. (대 에 기초적인 생활비도 확보하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