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한비21 (제2호) 2024년 10월 9일
P. 25

OCT.  9. 2024       25








                   23 페이지에 이어



        가 사는지? 사람이 죽어 냄새

        가 나고 백골이 되어도 모르는

        각박한 삶, 지역 커뮤니티 기능

        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이 부분에 있어 문제점 개선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단독생활은 '1인 가구 증가'로

        풀어볼 수 있다. 1인 가구는 주

        택공급률과 국민주택 규모에도

        영향을 준다. 전 국민에 주택을  해 보인다.                                                                      정책결정자라면 스스로에게 먼

        보급하기는 힘들다.                                       정부 역시 국민 개개인의 결 저 질문을 던져보아야 할 것이
          가구원 수가 준만큼 큰 집도  혼과 출산 문제를 지금처럼 국 다.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다.

        필요 없고, 1인 5평 규모를 고 가의  인위적  인구조절론으로  행복하게 잘 살고 싶어 하는 욕

        려하면 되겠지만, 사람의 욕망 결부시키면 국민들은 강한 거 망도 당연한 것이다. 반대로 모

        은 1인 가구라 할지라도 큰 집 부감을 지니게 된다. 생산인력  든 국민들에게 획일적인 삶을

        에서 살기를 원한다. 해서 정부 감소와 비혼·저 출산 문제를 지 살라고 강요할 수도 없다. 국민

        는 미혼가구, 결혼유무, 자녀유 속적으로 결부시키는 것 자체 들의 요구와 불만을 잠재우려

        무에 대한 조건 등으로 분양에  가 가정과 개인의 입장을 전혀  면, 국가는 국민들이 기본적인

        있어 차등적용을 하고 있다. 1 고려하지 않은 감수성이 결여 생활에서 불만이 없는 환경을

        인 가구 증가에 발맞추어 커뮤 된 정책운영이다. 설령 밀접한  조성해 줄 필요가 있다. 국민은
        니티 기능이 강화되어야 고독 관계가 있더라도 이런 식의 언 적정 급여와 안정적 일자리, 저

        사 문제도 예방할 수 있다.                                론노출을 방치하는 한 예산 수 렴한 주택공급 등을 필요로 한

                                                       십조 원을 투입해도 달라질 것 다. 집이 재산증식의 수단이 아

          근시안적인 정책 남발, 땜질 이 없을 것이다.                                                                    닌  보금자리  역할,  꼭  내집이

        식 처방만으로는 해결 안 된다                                 정부나 사업주 입장의 '생산인 아니어도 장기간 저렴한 비용

          결혼과 출산에 대한 젊은 세 력 감소' 문제를 가정과 근로자  에 임대가 가능한 임대주택을

        대의 인식도 바뀌어야 한다. 결 개개인 입장에서 보자면, '저소 시장 확대가 중요하다.
        혼과 출산은 누군가와의 비교 득 일자리 기피'현상일 뿐이다.                                                                안정된 직업, 소득, 보금자리,

        대상, 이득과 손해의 문제가 아                                저소득  일자리  구조  개선을  육아, 교육, 의료 정책 모두가

        니다.  데이트  비용마저  단  한  정부가  먼저하려  노력해야지  제자리를 찾아야 국민들은 평

        푼도 손해 보지 않으려 계산기  외국인력 도입으로 이 문제를  안한 삶을 살며 그 안에서 누

        두드리는 사랑과 결혼은 하지  풀어나간다면  사회적  분열과  가 채근하지 않아도 아이를 낳

        않느니만 못하다.                                      계급화에  대한  갈등은  더  큰  고 기를 것이다. 어느 한 분야

          사랑과 희생, 헌신이 없는 출 숙제를 남기면서 영원히 지속 의 불균형과 부족함은 다른 분

        산도 마찬가지이다. 결혼과 출 될 것이다. 당장의 산업계, 소수 야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

        산은 국가를 위해서가 아닌 본 의 일부 사업주 입장만을 대변                                                                모든 정책 분야의 균형과 조
        인의 삶을 위한 것이고, 본인의  하다가는 사회적 갈등 및 계급 화를 이끌어 내는 것이 지도자

        선택에 의한 것이다. 가정과 사 화, 분열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의 역량, 정부의 역할이다.

        회가 물질로만 이루어지는 것                                  제대로  된  리더십과  정책에                    <전재종 기자>

        이 아니라는 정신 수양도 필요 대한 질문을 리더, 정책입안자,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