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한비21 (제5호) 2024년 11월 25일
P. 17
NOV. 25. 2024 17
比·中 영유권 분쟁,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글로벌 해운사, 比 연안노선 첫 직접 진출
영유권 분쟁 격화 물류비·물가↑우려·트럼프 2기 공급망 재편 수혜 기대도
글로벌 해운사 진출 성패 따라 소비자 입장 호재, 운임↓·서비스질↑
진단과 전망 ① - '물류' 전문가에게 듣는다 답 : 아직 인프라가 확보되지
않은 지방 소도시나 물동량이
지난 9월 프랑스의 글로벌 해운사 CMA CGM의 자회사인 'CNC'가 필리핀의 공공서비스 많지 않은 전국 각 도서를 오
법 개정에 따라 첫 국내 노선 취항에 나섰다. 또한 10월에는 덴마크의 '머스크'도 라구나에
10펙타 규모 물류센터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필리핀 시장 공략에 나선 상황이다. 필리핀과 가는 노선에 특화된 영세 로컬
중국간 영유권 분쟁이 날로 격화되어 가고 있고, 11월에는 미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의 당 물류사들은 지방 대도시들을
선으로 글로벌 무역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자본과 규모의 힘을 앞세운 외국계 연결하는 거대 물류사와는 공
거대 해운 및 물류운송 업체들의 필리핀 국내시장 직접 진출, 급변하는 대외환경 변화에
대해 업계 전문가로부터 진단과 전망에 대해 들어보는 자리를 갖는다. 략층 (고객층과 시장)이 다르
기 때문에 외국계 해운사들의
질문 : 글로벌 해운 및 물류 진출에 아직까지 별다른 반응
업체들의 필리핀 직접진출에 은 없습니다.
대해 어떻게 보고 계시는지요? 영세 물류사들 입장에서 단
답 : 현재 소수 회사들의 독 기적으로 지방 거점도시까지
과점(카르텔화) 형태로 운영되 의 운임이 낮아지면 혜택을 볼
고 있는 필리핀 연안선사 시장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
에 외국계 거대 해운사의 진출 으로 지방소도시까지 대형 물
은 소비자 입장에서 환영할만 류사들이 진출하게 되는 시점
한 이야기입니다. 경직된 시장 이 오면 경쟁에 밀려 어려움에
에 운임 하락 및 서비스의 질 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적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을 질문3. 현재 날로 고조되어
것입니다. 가는 중국과 필리핀 간 영유권
다만, 과거 우버와 같은 외국 분쟁이 향후 해운사들과 물류
계 기업의 필리핀 시장 진출 필리핀한인총연합회 변재흥 이사장 업체들에 미치는 영향은 있는
실패 사례를 생각해보면, 필리 現 코렉스 해운항공 대표 지요? 영향이 있다면 어떤 부
핀 정부의 과도한 규제 및 세 前 제22대 필리핀한인총연합회 회장 분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주게
금으로 인한 비용증가로 운임 될까요?
저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하는 해외기업의 진출은 새로 답 : 필리핀과 중국의 영유권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기존 필리 운 선택지가 생기는 것이고 좋 분쟁으로 인하여 양 국가간 대
핀 기업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은 일이라고 보여집니다. 립관계가 심화되면, 중국-필리
운임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 질문2. 연안선사나 로컬 물류 핀 간의 선편이 줄 것이고, 선
려는 전략을 사용할 가능성도 업계 입장에서는 외국계 글로 사 스페이스 확보 문제와 운임
고려해야 합니다. 발 회사들의 필리핀 직접 진출 및 도착지 선사비용 인상 가
그럼에도 소비자 입장에서 고 이 달갑지 만은 않을 것으로 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필리핀
압적인 운영을 하는 로컬 물류 보이는데 로컬 업계 반응은 어 19 페이지에 계속
사보다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 떤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