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한비21 (제2호) 2024년 10월 9일
P. 39
OCT. 9. 2024 39
38 페이지에 이어 진하고 전략적이며 지속 가능 (기후 변화 및 에너지 협력)
한 해외투자를 유치하는 데 유
서 무역을 장려하고 다양한 관 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 17. 양측은 기후 변화와 이로
심 산업과 분야에 대한 전략적 력해 나갈 것이다.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공동의
이고 지속 가능한 투자를 촉진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인류
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할 것이 14 . 양 국은 세계무역기구 공통의 우려사항임을 인식하면
다. 양국은 서로의 경쟁 우위와 (WTO)로 상징되는 개방되 서, 파리협정 제6.2조1)에 따른
역량을 인식하면서, 경제통상협 고 포용적이며 규칙에 기반 협력에 중점을 두는 가운데, 현
력위원회와 같은 유관 메커니즘 한 다자 무역 체제를 지지하 재 논의되고 있는 기후변화 대
등을 통해 제조업 및 핵심 원자 며, 한-ASEAN 자유무역협정 응 협력을 위한 양자 협정을 보
재 가공, 혁신, 디지털 전환, 연 (FTA)과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 다 신속하게 체결하기로 하였
계성, 우주 경제, 우주기술 활 협정(RCEP)을 포함한 지역·다 다. 양국은 필수적이고 신뢰할
용, 기후변화 완화와 적응, 청정 자 차원의 경제 협정과 메커니 수 있는 무탄소 전력원이자 에
에너지로의 정의로운 전환 등 즘이 국가 간 무역과 전자 상거 너지 안보 제고를 위한 필수 요
에 있어 상호 보완성을 실현하 래 분야에서 협업 기회를 모색 소로서 청정에너지가 갖는 중요
기 위한 전략적 기회를 식별하 하고, 특히 소상공인·중소기업 성을 강조하면서, 다양한 에너
고 활용해 나갈 것이다. 의 역내 무역·투자 확대에 우호 지 프로젝트와 이니셔티브 개
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는 발을 위한 협력을 모색해 나갈
12. 양국은 포용적인 디지털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음을 것이다. 필리핀은 한국의 무탄
전환과 경제를 가속화하고, 양 환영하였다. 소 에너지(CFE) 이니셔티브, 바
국 핵심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탄 원전 복구에 대한 타당성 조
강화를 위해 스마트 시티 건설, 15. 양국은 아세안+3 지역 내 사, 재생에너지원 촉진, 수소 개
스마트 제조 및 식품 가공, 스 금융 협력의 중요성을 인정하 발, 친환경적인 방식의 탄소 포
마트 농업 및 식품 가공 분야에 면서, 역내 금융 안전망으로서 집·활용·저장을 지지한다. 모든
서 디지털 기술 활용, 농업 기계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 이니셔티브는 지속가능하고 포
화 및 현대화, 전기차 생산을 포 (CMIM) 강화에 대한 의지를 재 용적인 개발을 보장하기 위해
함한 저탄소 교통 수단 개발, 우 확인하였다. 포괄적인 지역 공동체의 관여
주 인프라 개발, 창조 분야에서 와 철저한 환경 영향 평가를 포
기술 융합 촉진, 재생 에너지 16. 양국은 경제 안보와 지속 함할 것이다.
관련 협력, 보편적이고 저렴한 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공급망
5G 접근성, 4차 산업혁명 등 분 에 관한 협력을 심화하는 것의 1)국가결정기여를 위하여 당
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확대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물류 인 사자가 국제적으로 이전된 완화
는 한편, 혁신과 스타트업을 육 프라를 개선하고 핵심 원자재 성과의 사용을 수반하는 협력
성하고 노동자와 소상공인·중 공급망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 적 접근에 자발적으로 참여하
소기업의 디지털 숙련도 향상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하 는 경우, 당사자는 지속가능한
을 위한 양자 협력을 강화해 나 였다. 양국은 핵심 원자재의 혁 발전을 촉진하고 거버넌스 등에
가기로 하였다. 신적이고 지속가능한 가공을 서 환경적 건전성과 투명성을
위한 최신 연구개발 성과물의 보장하며, 이 협정의 당사자회
13. 양국은 기술 이전, 일자리 개발, 이전, 활용을 위해 역량을 의 역할을 하는 당사자총회가
창출 및 경제성장 촉진에 있어 강화하는 등 함께 노력해 나가 채택하는 지침에 따라, 특히 이
투자가 결정적인 요소라는 점 기로 하였다. 46 페이지에 계속
을 인식한다. 양국은 무역을 촉